목록분류 전체보기 (110)
Real Vectorism. 훨씬 더 입체적으로...
0) npm 설치 1) 기본작업 (시작 >> cmd 검색 후 명령 프롬프트) npm install -g vue@next npm install -g @vue/cli 2) 원하는 폴더에 워크스페이스 생성 후 주소창에 cmd를 입력해서 해당폴더를 위치로 하는 명령 프롬프트 실행 npm init vite-app (프로젝트이름) 몇몇 예시는 vue create (프로젝트이름) 으로 진행하던데 vue 1, 2 에서는 몰라도 vue3 공식문서는 npm init vite-app 으로 설명하고 있어서 vue create 는 여기에서는 언급하지 않겠음. 솔직히 vue 프로젝트가 만들어지는것은 같고 기본파일들은 미묘하게 다른것 같음. 3) 프로젝트 생성 후 다음 작업 cd (프로젝트이름) npm install npm run..
Dark 버전의 머티리얼라이즈 CSS가 없어서 직접 우리손으로 맨든 CSS 사용 예정(...) Vuetify 보니 괜히 CSS를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로 격상시켜서 이해하기 힘든 물건이 되어버린것 같아서 직접 Dark Material 을 만들게 됨. 아예 CSS변수화 시켜서 원하는 색상으로 바꾸는것도 얼마든지 가능. 아무리 그래도 쓰던기술들 버리는거 없이 죽을때까지 쭉 가지고 가야지 아무리 귀찮아도 결국은 정성이야(...) P.S. 001: 이상하리만치 CSS 중에서 머티리얼라이즈의 Dark Theme 레퍼런스는 구글에서도 찾기가 힘듬. CodePen 예시소스코드가 있긴 한데 특정 컴포넌트들이 색상이 안바껴버려서 배경에 묻혀 있는지조차도 모르는 상황은 시작부터 방지하고 가는거라 힘겹게 SCSS로 새로 만듬.
난생 처음해보는 Vue.js 난생 처음해보는 Scss 금시초문인 것만 2개를 동시에 진행하니 속도가 전혀 안붙지 이런 븅딱(...)
계약이 끝나든 자발적이든 퇴사를 한다면 왜 하나같이 하는 생각이 사고쳐놓고 튈꺼라고 생각하는걸까. 뒷말 나오는게 너무 싫어 터진 사고는 전부 수습하고 나가는데 이 말만 들었다 하면 진짜 비틀리는 느낌이다... 내가 너무 민감한건가
난수발생 라이브러리 사용 및 호출금지 >> java를 예시로 들 경우 Math.random() 사용금지 (C#의 경우에는 Random.value 였던가 암튼 뭐 이런것들) >> import도 얄짤없이 적용한다면 java.util.Random 패키지는 아예 일절 import 금지 전파성 적용 >> 클라이언트에서만 난수 발생을 회피하면 되는게 아니라 서버에서 API 형태로 난수를 가지고 오는것 또한 난수발생 라이브러리 사용 및 호출금지로 일괄적용시켜버리는 방안, 밀리세컨드와 나노세컨드까지 포함시켜 요청시각을 가지고오는 API는 법률 보완으로 막아야함. 이중 확률이고 나발이고 그냥 확률 자체를 논할 수 없게 사지를 잘라버려야 거기서부터 규제의 시작임. 그 다음에 쩔쩔매고 정신 차리기 시작하면 서서히 규제를 완..
일단 가장 큰 문제는 스프링부트 버전. OAuth2가 스프링부트 시큐리티 2.4.0 버전부터 로드맵에서 완전히 빠져버렸는데 이게 단순히 리포지토리 정리 차원에서 제거된건지 아니면 보안문제까지 겸해서 제거된건지를 알 수가 없다. 이래서 지금 스프링부트에서 스프링 클라우드 리포지토리로 교체해서 전면 수정해야하는건가 진행 보류중. 두번째는 client_credentials 의 적용범위. 웹 서비스가 아닌 클라이언트 자체의 인증을 위해서 쓴다고 얼핏 배웠던거같은데 password 방식과 다른게 뭔지 모르겠다. 일단 지금은 아무래도 스프링 클라우드로 이전하는것까지 전부 생각해봐야겠다
IntStream.of(1, 2, 3) 하고 Flux.just(1, 2, 3) 하고 뭐가 다른건지 모르겠다 맵 리듀스 같은 람다함수를 순차적으로 넣어주면 똑같은 순서대로 처리해주는거 같은데 이게 웹서비스와 스프링 웹플럭스하고 어떻게 다른건지 받아들이는 방법을 전혀 모르겠다
JAXB 문제(ClassNotFound)로 부팅이 안된다. 돌리기 위해서는 pom.xml 에 org.glassfish.jaxb jaxb-runtime 를 추가해야한다. 호환성의 문제로 자바 11에서 꽤 적지 않은 라이브러리가 삭제되었다고 하는데 스프링측에서는 저걸 사용하면 된다고 한다. 실제로 사용해도 되는건지 저거 사용 자체를 피해야하는것인지까지는 모르겠다. -->> 추신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에서 error occurrd during 어쩌구 저쩌구하는 에러 로그에서 spring boot validation builder 가 언급될 경우에는 2개 중 1가지를 선택해서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방법 1. 워크스페이스경로/.metadata/.plugins/org.eclipse.wst.validation 폴더 ..
STS 4 에서 업데이트를 하더니 더이상 자바1.8 에서 실행되지 않는다고 한다. 11 이상의 JDK가 설치되어있어야한다는 팝업이 나와서 11로 갈아탔다. 그러고보니 1.8 도 슬슬 END OF LIFE가 다가오고있지 않나...
스프링부트가 Run as >> Spring Boot App 에서 실행하자마자 바로 터져버릴 경우 구체적 증상 >> 아무런 에러도 표시되지 않을 뿐 더러 Run as 뿐만이 아니라 Debug as 에서도 스프링부트 앱으로 실행이 되지 않는다. 원인분석결과 >> 톰캣도 네티도 없어 스프링부트가 그냥 종료된다. WAS가 항시 대기상태로 머물러있어야 스프링부트도 계속 실행되는 상태가 된다. 조치 >> 스프링부트용 spring-boot-starter-web이나 부트용 톰캣, netty 라던가 아니면 spring-boot-starter-webflux 를 포함시켜서 재기동한 결과 서버가 대기상태로 머무르면서 스프링부트 앱이 종료되지 않는다. WAS기능을 할 리포지토리가 없다면 사실상 Pure Java로 테스트코드를 ..
가성비 제품 라인업은 기어이 없는단점 넣어서 문제점을 만듦 스마트폰 카메라 단가가 지들 가성비 라인업에 있는 제품이랑 단가 차이가 얼마 나지도 않을꺼면서 너무 뚜렷한 심각한 문제점을 넣어서 만든다 그게 아니면 그 문제가 해소된 제품 라인업은 스마트폰보다도 몇배나 비싼 배꼽제품인지...?
남은기간의 50%가 위약금이라고 하더니 내가 월 11,000원 플랜을 쓰고있는데 지난달에 봤을 때 위약금은 22,000원이었는데 이번달 위약금은 11,000원이다? 50%가 아니라 100% 아닌가?
그래서 스프링 웹플럭스는 어떻게 공부해야하는거얔ㅋㅋㅋ
트위치에서 NCS 음원조차도 쓸 수가 없나

20대 버킷리스트라는 억지스러운 이름으로 시작했는데 중간중간 은근히 재미가 들려서 한번 해보기로 했습니다. Shooting Paradigm 2 - Google Play 앱 20대 버킷리스트로 아무런 사전기술 없이 만들어본 게임입니다. 플레이어 오브젝트를 드래그하면서 생성되는 탄환들을 피해 40초간 살아남아보세요. 게임방식은 지극히 단순하지만 패턴은 단순 play.google.com 게임의 본질에서는 빈약하기 짝이 없긴 하지만 끝끝내 검토를 통과해 출시까지 성공했습니다. 탄막피하기류 캐주얼 게임입니다. 총 165개의 패턴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40초간 살아남아보세요.
패턴 튜토리얼 10/10 아케이드 게임 100/100 랭크 게임 37/50 13개만 더 만들면 완성
그냥 자바나 할란다...